본문 바로가기
독후감

나목 - 박완서 / 시대의 증거물

by 박종인입니다. 2023. 7. 30.
728x90

 

 

소설은 한국 전쟁 당시 20대 초반 여성의 서울살이로 전개되며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실질적인 가장의 모습과 등장인물을 통해 전쟁이 남긴 시대의 상황을 증거하고 있다.

 

문학은 읽는 재미가 있어야 하며, 읽고 난 후 반성의 시간을 남기는 데 그 의의가 있다는 박완서 작가의 목소리(KBS 아나운서와의 대담, 1992)를 듣고, 소설 <나목>을 다시 바라보게 되었다.

 

<나목>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몸소 경험한 사람들에게는 동료 의식을 되살릴 수 있는 글이다. 이 말은 당시의 배경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 재미가 덜 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나목>그들에게 이런 상황이 있었고, 어떻게 견뎌냈는지를 기록함으로써 (마치 사건의 기록을 통해서 부조리를 막아내려는 역사의 노력처럼) 각 시대의 대 쟁투를 치러내고 있는 우리에게 반면교사의 힘을 전하고 있다.

 

작가가 소화 시켜 사용한 어휘 중, 미결인 상태가 마음에 들었다. 내 심리를 요약하여 정리하라면 이보다 적절한 표현은 없을 것이다. 결단이 필요하지만 이를 지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아주 짧은 평온함.

그는 화제를 슬쩍 돌리며, 그의 눈에 상심보다 더 깊은 아픔이 지나간다.

그는 그가 해결 지어야 할 이 조그만 현실도 미결인 채 피하려고만 들었다. 나는 구태여 더 깊이 추궁하려 들지 않았다.

미결인 상태, 그 몽롱하고 무책임한 상태가 주는 휴식이 지금의 나에게는 필요했다.” (353)

 

여느 소설처럼 책을 덮은 뒤, 등장인물조차 기억나지 않을 수 있겠지만, 그런데도 다시 소설을 찾는 이유는, 예상치 못한 상황과 이를 전개하는 재미난 이야기가 기다리기 때문이다.

 

<나목>에도 같은 이유가 있다. 며칠 후면 등장인물의 이름조차 기억하지 못하겠지만, 포탄이 떨어진 지붕의 모습과 옥희도와 태수가 마주해야 하는 오금 저린 상황은 오래도록 잊지 못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